주 요 소 식

평화통일논평

  • Home
  • 연구원 활동
  • 평화통일논평

연구원 활동

평화통일논평

[2024.07.15.] 블랙박스 해체하기: 북한도시에 작동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의 탐색 - 숭실평화통일연구원 북한도시연구단 백…

  • 24-07-15 10:49
  • 조회105회

본문

블랙박스 해체하기: 북한도시에 작동하는 다양한 매커니즘 탐색


백명숙(숭실평화통일연구원 북한도시연구단 연구위원)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법 체계, 경제지표, 인구, 영토, 지리적 위치 및 공간구조와 같은 거시적 요소만을 가지고 설명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한다. 동시에 사회 구성원들의 미시적 경험들과 소소한 일상만으로는 특정 사회의 전체적 모습을 가늠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어느 사회에나 표면에서 보이는 것으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일종의 블랙박스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 블랙박스는 사회구조 안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이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미시적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이 거시적 구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볼 수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작동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북한은 마치 거대한 블랙박스와 같은 사회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블랙박스와도 같은 면모, 즉 이중적이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은 여러 영역에서 관찰된다. 가령 제도적으로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외형을 유지하고 있지만 주민들의 실제 생계는 시장을 통해 해결된다거나, 최고지도자의 통치업적을 기리기 위한 건설업이 실제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민간사업자 돈주의 활약이 두드러진다거나, 집단체제에 사는 주민들이 사적 네트워크를 통해 전국적인 송금행위를 하는 사례 등이 바로 그것이다. 

  북한은 객관적인 자료의 부족과 현장방문이 어렵다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사회현상이 존재한다는 면에서 학자적 관심이 집중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진리를 탐구하는 연구자라면 북한 사회의 여러 측면을 단순히 나열, 열거하는 것을 넘어서서, ‘분석의 틀’을 가지고 관찰하려는 해석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동안 북한학계에서는 거시적 단위에서 국제정치의 역학이나 남북관계와 같은 국가주의의 틀 속에서 연구대상을 이해하려는 시도와 함께, 미시적 단위로는 일상의 영역에서 개인 행위자들의 경험과 삶을 분석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런가 하면 거시적 단위와 미시적 단위의 중간 단위로서 사회의 작동에 대한 탐구도 진행되었다. 필자는 북한학계의 앞선 성과들을 참고하면서, 국가보다는 공간적으로 작은 영역이며 개인들이 집단적으로 모여서 사는 북한의 ‘도시’를 다양한 메커니즘이 구현되는 ‘장’으로 주목한다. 또한 사회적 메커니즘을 설명할 때 유용하게 활용되는 Coleman의 보트(Boat)를 북한도시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 탐색의 개념적 틀로 제안한다. <그림 1>과 같이 Coleman(1990)이 제시한 다이어그램에 의하면 Macro Level의 아래에 Micro Level의 행위자들이 있다. 메커니즘은 거시구조가 개인이 행위를 어떻게 제약하는지, 구조의 제약하에서 개인이 어떠한 행동을 선택하는지, 개인의 행동은 다시 거시 수준에 어떻게 축적되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Yoshimichi Sato, 2010). 즉 메커니즘은 구조와 개인의 중간단위(Meso Level)이며 연결고리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북한 도시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이러한 고민은 최근 ‘인과 메커니즘(Causal mechanism)’ 분석으로 부상하고 있는 사례연구 방법의 확장과 더불어 논의할 수 있다. 그동안 통계적 확률을 통해 X가 Y의 원인임을 밝히는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는 정량적 분석의 고유한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통계적 확률은 X가 ‘어떻게’ Y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는 보여줄 수 없다. 무작위로 선정한 샘플의 통계적 확률을 통해 원인과 결과를 판단하는 양적분석은 연구대상이 되는 사회의 외형적 구조를 보여주는데 용이하지만, 하나의 사례들이 담고 있는 깊은 의미와 이야기를 담아내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인하여 최근 David Collier, Derek Beach와 같은 학자들은 사례를 통한 인과 메커니즘 분석의 방법으로 과정추적법(Process Tracing)을 선도하고 있다. 과정추적법은 소수사례 내에서(with in case) 주가설, 대립가설에 대한 진단적 증거를 확보하여 인과적 추론을 검증하거나 법원의 판례 원리를 활용한 비공식적 베이시안(Informal Bayesian) 분석 등 활발한 진보를 이루고 있다. 이와 더불어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과 같이 특정 이론의 패턴, 즉 명제(Proposition)가 만일 현실의 패턴에서도 관찰된다면 그 명제가 강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연구의 방법도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단일사례를 통해서도 가설을 검증할 수 있으며 소수사례를 통해서도 이론을 검증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에서 발전되고 있는 사례연구는 북한 도시의 독특한 사례들을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소셜 네트워크 분석도 북한 도시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는데 그 활용도가 높을 것을 기대된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SNS가 양산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양적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 질적자료를 통한 분석도 점차 확장되고 있다. 거대한 사회 구조를 인공위성을 통해 얻은 지도 위에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을 일종의 노드(Node)로 명시하고, 노드가 연결된 선(tie)를 관찰하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북한과 같이 사적 네트워크와 신뢰관계, 상부상조, 명성, 소문이 강하게 작동하는 사회에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접경지역 도시의 무역 네트워크나 인적관계를 드러내는데 유용할 수 있다.

  블랙박스와 같은 북한 도시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 간 융합과 교류, 사회과학적 이론에 대한 수용 그리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적용 등이 필요할 것이다. 필자가 속한 숭실평화통일연구원 북한도시연구단도 ‘시장이 이끄는 북한도시변화와 도시민의 삶 연구’라는 주제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단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새로운 연구방법을 발굴하고 사회과학적 이론을 북한도시연구에 접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북한사회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에 대한 고려이다. 가령 ‘서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 북한에서 과연 가능한가?’, ‘주민들에 대한 전인적 통제가 작동하는 북한사회의 구조는 어떠한가?’와 같은 북한사회에 대한 깊은 성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연구방법과 이론의 적용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지 않고 북한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라는 본질적인 학문적 동기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Beach, Derek and Pedersen, Rasmus. (2013). Process-Tracing Methods: Foundations and Guideline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Coleman, James S. (1990).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The Belknap Press.

Collier, David. (2011). “Understanding Process-Tracing”. Political Science & Politics, 44(4): 823-830.

Sato, Yoshimichi. (2010).Rational foundations of macro sociology: Bringing Coleman's boat back in.

 https://web.archive.org/web/20160402190814/http://www.isa-sociology.org/congress2010/rc/rc45.htm

Walther, Olivier J. (2014). Business, Brokers and Borders: The Structure of West African Trade Networks. Department of Border Region Studies Workig Paper Series, No. 01-14. 

Yin, Robert K. (2016),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백명숙. (2022). “통제경제 하에서 시장의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과정추적법(Process Tracing)을 활용한 북한시장의 인과 메커니즘 분석”.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백명숙, 서문기. (2024). “북한의 비공식 송금제도 '이관(移貫)'의 작동 패턴에 관한 연구: 공식 및 비공식 제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제도와 경제, 18(2), 137-166.

한지만. (2024).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의 살림집 건설을 통한 통치 정당성 확보에 관한 연구 : 비공식 베이시안(Informal Bayesian) 과정추적법을 통한 북한 살림집 건설정치의 인과메커니즘 분석”.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위 내용은 집필자 개인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발행: 숭실평화통일연구원 발행일: 2024년 7월 15일

 

d4349755e5ca6fee333e5ec231990bb7_1721008191_1044.jpg
d4349755e5ca6fee333e5ec231990bb7_1721008191_3219.jpg
d4349755e5ca6fee333e5ec231990bb7_1721008191_8493.jpg
d4349755e5ca6fee333e5ec231990bb7_1721008192_0074.jpg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