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요 소 식

미디어

  • Home
  • 알림
  • 미디어

알림

미디어

[인턴코너] 리뷰칼럼(전승재) - 탈북 청년 창업 현황과 활성화 방안

  • 25-02-05 11:26
  • 조회11회

본문

1096787b66facf7498c71eace8472c92_1738729916_084.jpg



탈북 청년 창업 현황과 활성화 방안

 

 

작성자: 전승재(숭실평화통일연구원 인턴)


 

  제5차 공동학술대회의 마지막 발표는 탈북 청년 창업 현황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전병길 대표(예스이노베이션)께서 발표하셨습니다. 발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탈북민의 경제 상황을 보았을 때, 참가율이 63.4%, 고용률은 60.5% 정도로 일반적 남한의 국민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을 보여주었습니다, 탈북민들은 경제적 자립, 사회 적응, 역량개발 등의 문제로 인해 창업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 소개된 여러 탈북민 창업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창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정부 차원 및 민간 차원으로 나누어 불 수 있습니다. 먼저 정부 주도 탈북민 창업 프로그램의 경우 남북하나재단이 있는데 2011년부터 진행된 창업 프로그램의 경우는 초기에 함께일하는사람들현대차미소금융등에 용역을 주어 운영하였지만, 2014년부터는 남북하나재단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민간 차원에서는 대학과 연계한 프로그램(단국대, 고려대 등)이 있었고, 아산나눔재단, 통일과 나눔 등 민간재단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NGO 활동으로는 NK경제인연합회에서 활동이 이따금 진행되고 있으며, 발표자께서 민간 공익 재단의 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로 진행되었던 ‘OK쉐프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하셨고,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템이 좋았다고 평가하셨습니다. 6단계(대상자 선정 창업교육 CS교육 현장실습 소셜 프랜차이즈 창업 창업자금 상환)의 체계적인 창업교육 프로그램이 있었으며, 현재는 위 프로그램은 운영이 되지 않고 있으며 11개까지 늘어났던 소셜프랜차이즈 이야기를 담은 라멘이 대부분 폐업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아산나눔재단의 아산상회 프로그램은 2019년부터 운영되었으며 초반 팀 구성원의 문화적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해결되어 안정화되었고 잘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탈북민 창업의 주 애로사항은 크게 두 가지로 자금 부족 그리고 마케팅 역량 부족이 있었습니다. 탈북민 창업지원의 특징에는 여성 및 청년 중심, 종교단체 참여, 기업 사회공헌, --관 연계, 민간기금 등이 있으며, 특히 민간기금의 경우 유연한 지원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탈북민 창업지원에는 거버넌스가 애매하고, 마스터플랜이 부재하며, 탈북민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탈북민 창업은 탈북민 청년의 창업 관심도에서 그 중요도가 나타나는데 일반 남한의 청년의 29%가 창업을 고려 또는 경험한 것과 비교해 탈북민의 56.1%가 창업을 고려 또는 경험하였습니다. 탈북민 창업의 현황은 전체의 80% 정도가 서비스업인데 이는 업종 특성상 진입이 쉽다는 지점이 있습니다. 성공적인 사례로 꽃is리아, 글로비원, 하나도가, 낭풍 등이 있습니다. 탈북청년 창업의 한계점으로는 사업의 아이템, 자금지원, 창업교육, 마켓팅 등이 있었으며 탈북청년 창업지원을 위한 제언으로 이해관계자 간 교류 활성화, 탈북민 창업지원센터 설립, 공익 브랜드 활성화, AI시대 대비, 다양한 펀딩 소스의 개발 등을 이야기하시며 발표를 마무리하셨습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김성모 부장(남북하나재단 일자리지원부)께서는 탈북민 창업의 현황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셨습니다. 구체적으로 창업을 하게 된 계기가 생계 유지, 조직 생활 적응 어려움 등에 있으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서로 신뢰를 하면서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창업교육센터 관련해서는 생계형 창업에서 점차 기술 기반으로 발전시켜 나가며, 무분별한 창업을 방지하는 질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번 발표 및 토론을 통해 탈북민분들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같은 이유로 창업을 많이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여러 지원 정책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해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알아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